//

 

월요일 경제 뉴스 정리합니다~

 

경제 뉴스 브리핑 3월 31일 (월)
경제 뉴스 브리핑 3월 31일 (월)

 

[목차]

 

1. 2월 산업생산·소비·투자 모두 증가

2. '공매도 재개 첫날' 국내 증시 2%대 하락, 코스피 2500선 붕괴

3. 트럼프, 상호관세→보편관세 검토, 최대 20%까지

 

 

1. 2월 산업생산·소비·투자 모두 증가

2월 국내 생산, 소비, 투자가 모두 증가해 지난해 12월 이후 두 달 만에 '트리플 증가'를 나타냈습니다. 통계청은 조업일수 증가, 설연휴 기저효과, 전기차 보조금 조기지급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예요. 11개월 만에 소비가 최대 증가하는 등 내수 회복 기대에 대한 불씨는 살렸지만 연말·연초 경기 지표가 등락을 거듭하며 여전히 불안한 모습이에요.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2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 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0.6% 증가했습니다.

 

전산업생산은 지난해 11월 1.2% 감소한 뒤 12월에는 1.8% 증가하며 반등했지만 올해 1월 들어 3.0% 감소하며 다시 마이너스 전환한 바 있어요. 

 

광공업 생산은 1차금속(-4.6%) 등에서 생산이 줄었지만 전자부품, 전기장비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 대비 1.0% 증가했습니다. 제조업 재고는 전월 대비 1.2% 감소했습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정보통신(-3.9%) 등에서 생산이 줄었지만 도소매(6.5%), 금융·보험(2.3%)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 대비 0.5% 증가했어요. 특히 숙박·음식점은 전월 대비 3.0% 줄어 2022년 2월 8.1% 감소한 이후 3년 만에 최대 감소했어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1.5% 증가하며 지난해 3월(1.5%) 이후 11개월 만에 최대 증가 기록을 세웠습니다.

 

투자도 설비투자와 건설투자 모두 늘었어요. 설비투자는 기계류(23.3%) 및 운송장비(7.4%)에서 투자가 모두 늘어 전월 대비 18.7% 증가했습니다. 건설기성은 건축에서는 공사실적이 줄었으나, 토목에서 늘면서 전월 대비 1.5% 증가했어요.

 

반응형

 

2. '공매도 재개 첫날' 국내 증시 2%대 하락, 코스피 2500선 붕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가 임박한 가운데 약 17개월 만에 돌아온 공매도 재개 첫날인 31일 국내 증시가 외국인 투자자의 팔자세에 2%대 급락 중입니다. 코스피는 단숨에 2400선으로 내려섰고 코스피 대장주 삼성전자도 6만 원선이 붕괴됐어요.

 

코스닥 지수도 외국인 투자자의 순매도세에 하락폭을 키우며 670선에 안착했습니다. 

 

업종별로는 모든 업종이 내림세입니다. 기계·장비, 의료·정밀기기, IT 서비스, 화학, 금속 등이 하락 중이예요.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에도 일제히 파란불이 켜졌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이 4.21% 급락 중이며 삼성전자는 6만 원선이 깨졌습니다.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 현대차, 셀트리온, 기아, 네이버 등이 2%대 급락하고 있어요.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 종목 대부분도 하락세입니다. 에코프로비엠, HLB, 에코프로, 휴젤, 삼천당제약, 코오롱티슈진, 클래시스 등이 내림세예요. 반면 알테오젠,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상승세입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4.1원 오른 1470.6원으로 출발했습니다.

 

3. 트럼프, 상호관세→보편관세 검토, 최대 20%까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 적자 국가를 겨냥한 관세만 아니라 전 세계 거의 모든 무역 상대국에 최대 20%까지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다음달 2일(현지시각) 발표할 예정인 새로운 관세 정책의 구체적 방식을 두고 막판 조율에 나섰다고 30일 보도했어요.

 

보도에 따르면 당초 트럼프 대통령은 상대국의 관세 수준에 맞춰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매기는 '맞대응 관세' 도입을 주장했으나 최근 들어 관세 부과 국가 범위를 대폭 확대하고 관세율도 높이는 방안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국과 무역 적자를 기록 중인 국가들에 대해 일괄적인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이는 최대 20%에 이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어요.

 

또 보편 관세 이외에 핵심광물과 이를 포함하는 제품에 타격을 줄 수 있는 새로운 산업별 관세 목록을 2일 공개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구독, 공감, 댓글은 항상 힘이 됩니다. ^^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