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요일 경제 뉴스 정리합니다~

 

경제 뉴스 브리핑 8월 26일
경제 뉴스 브리핑 8월 26일(월)

 

 

[목차]

 

1. 피벗 선언에 '달러 팔자', 환율 5개월여 만에 장중 1310원대

2. 하남시, 동서울변전소 증설 불허로 수도권 전력망 비상

 

 

1. 피벗 선언에 '달러 팔자', 환율 5개월여 만에 장중 1310원대

원·달러 환율이 약 5개월 만에 1310원대로 하락했습니다. 지난주 잭슨홀 미팅에서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강한 금리 인하를 시사하면서 달러화가 연중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어요. 외환시장에서는 '달러 매도' 움직임이 강해지면서 환율이 20원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26일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13.8원 내린 1325.0원에 개장했어요. 이후 장중 달러 매도세에 급격히 하락 폭을 확대해 오전 10시 15분경 1319.4원까지 하락했습니다. 이는 장중 저가 기준 지난 3월 14일(1313.2원) 이후 약 5개월 만에 최저치예요.

 

지난주 후반 열린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 의장은 연준의 통화정책 우선순위가 물가안정에서 고용으로 전환됐음을 시사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치 2%를 향해 순항하고 있고, 노동시장은 더 이상 과열 상태가 아니다"라며 "노동시장 악화를 막기 위해 조만간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어요. 다만 금리 인하 시점과 인하 폭 등 구체적인 정보는 아직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피벗(통화정책 전환) 선언으로 인해 달러화는 연중 최저 수준까지 내려왔습니다. 달러인덱스는 25일(현지시간) 저녁 11시 17분 기준 100.66을 기록하고 있으며 달러 대비 아시아 통화는 강세를 보여 달러·엔 환율이 143엔대로 올해 중에 엔화 가치가 가장 높은 수준이에요.

 

9월에 고용지표가 안정되고 빅컷 기대감이 커진다면 연내 환율은 1200원대까지 하락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어요.

 

반응형

 

2. 하남시, 동서울변전소 증설 불허로 수도권 전력망 비상

경기 하남시가 동해안과 수도권을 잇는 전력망의 핵심 시설인 동서울변전소의 옥내화·증설 사업을 뒤늦게 불허하면서 수도권 전력 공급에 차질이 예상됩니다. 한국전력은 행정소송 등 가능한 모든 절차를 검토해 사업을 정상화하겠다는 방침이에요.

 

동서울변전소는 동해안 지역에서 생산한 전력을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한 동해안~수도권 초고압직류송전(HVDC) 선로의 종착지입니다. 정부와 한전은 수도권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해 2023년부터 4조 원 이상을 들여 총길이 280km의 송전선로 건설을 추진해 왔어요.

 

하남시는 한전과 변전소 옥내화 및 증설 사업을 협의하고 작년 10월 24일 업무협약(MOU)을 맺었지만 주민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혀 이날 돌연 한전과의 MOU를 해지한다고 밝혔어요. 이로 인해 동서울변전소 증설 사업은 최소 1년 반 이상 지연될 수 있어요. 서울 시민들과 수도권 반도체 클러스터 등에 대한 전력 공급 역시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당장 연 3000억 원어치의 수도권 전기요금 인상 요인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정부가 2047년까지 총 622조 원을 투입해 세계 최대 규모로 조성하는 용인 반도체 메가클러스터의 전력 공급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요. 용인 반도체 메가클러스터는 필요한 전력 10GW 가운데 3GW를 신규 화력발전소 6기로 자체 조달하고 나머지 7GW는 다른 지역에서 끌어와야 합니다.

 

2023년 현재 수도권은 전체 전력의 40.2%를 쓰지만 생산은 27.4%에 그칩니다. 호남, 강원 지역은 각각 7.8%, 5.8%를 쓰지만 13.7%와 12.7%를 생산해요. 때문에 정부는 2036년까지 56조 5000억 원을 들여 동해안과 서해안의 원전, 화력발전소,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는 송전 설비를 늘리고 있어요. 동서울변전소는 동해안(줄로 울진원전)에서 생산한 전력을 수도권으로 실어 나르는 핵심 사업이에요. 2024년 현재 동해안 지역의 총 발전 능력은 17.9GW인데 송전능력은 10.5GW에 그쳐 최대 7.4GW분의 전기를 보낼 수 없어요.

 

이번 하남시의 허가 취소가 다른 지자체로 확산할 가능성도 정부가 우려하는 부분입니다. 한전은 행정소송 등을 통해 사업을 예정대로 추진하겠다고 밝히고있어요.

 

 

 

 


구독, 공감, 댓글은 항상 힘이 됩니다. ^^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