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 경제 뉴스 정리합니다~
[목차]
1. 대만 TSMC 뉴욕증시서 시총 1조 달러 '터치'
1. 대만 TSMC 뉴욕증시서 시총 1조 달러 '터치'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가 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장중 시가총액 1조 달러를 터치했습니다.
이날 TSMC 주가는 장 초반 4.8% 급등한 192.80달러까지 치솟으며 시총 1조 160억 달러를 돌파해 사상 처음 1조 달러를 넘어섰어요. 다만 이후 상승 폭이 줄어들며 주가는 1.43% 오른 186.63달러에 거래를 마쳤어요.
이날 주가 상승은 전날 모건스탠리가 목표주가를 9% 상향 조정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내주 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모건스탠리는 TSMC가 연간 매출 추정치를 올릴 것으로 전망했어요. 또 TSMC가 반도체 웨이퍼(반도체 제조용 실리콘판) 가격을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목표주가를 올려 잡았어요.
모건스탠리는 "TSMC의 '헝거 마케팅'(한정된 물량만 판매해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더욱 자극시키는 마케팅 기법) 전략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 같다"며 최근 TSMC는 2025년 파운드리 공급이 부족할 수 있고 가격 인상이 없으면 고객들이 충분한 용량을 할당받지 못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고 분석했어요.
TSMC 주가는 작년 말 103.25달러였으나, 인공지능(AI) 칩 수요가 크게 늘면서 이날 종가 기준 올해 80% 이상 급등했어요. TSMC는 애플의 아이폰 및 엔비디아의 최첨단 칩을 사실상 100% 생산하고 있어요.
뉴욕증시에서 시가총액 순위 7위로 8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파운드리 2위 업체인 삼성전자 시총(4천58억 달러)의 약 2.5배 수준이에요.
2. 전세사기 피해자 전용 버팀목·디딤돌 대출 문턱 낮아진다
전세사기 피해자 전용 디딤돌 대출의 총부채상환비율(DTI) 요건이 60%에서 100%로 완화됩니다. 전세사기 피해 주택을 '셀프 낙찰' 받으려 해도 소득이 낮다는 이유로 대출 실행을 거절당했다는 피해자들의 지적을 반영한 조치예요.
8일 국토교통부는 전세사기 피해자의 이자 부담을 낮추기 위해 정책대출 요건을 완화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국토부는 전세사기 피해자가 피해 주택을 낙찰받을 경우 경락자금의 100%를 저리 대출해 주겠다는 지원책을 내놓은 바 있는데요. 하지만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 구입자금 대출은 총부채상환비율(DTI) 100%를 적용하지만,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디딤돌대출은 DTI 60%를 적용하면서 대출을 받지 못하는 피해자 사례가 속출했어요.
국토부가 DTI 비율을 100%로 조정하면서 대출지원 기관 사이의 엇박자는 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전세사기 피해자가 기존에 이용하던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금리가 더 낮은 피해자 전용 버팀목 대출로 갈아타는 것도 허용됩니다. 피해자 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금리는 1.2~2.7%로 일반 버팀목 금리(2.1~2.9%) 보다 저렴한 편이에요.
전세사기 피해 주택을 '셀프 낙찰' 받은 피해자들은 과거 주택 보유 이력과 상관없이 생애 최초 구입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전세사기 특별법에 따라 '전세사기 피해자 등'으로 인정된 사람은 전세사기 주택을 매입했더라도 향후 디딤돌 대출을 받을 때 주택 구입 이력이 없는 것으로 간주돼요.
3. 슈퍼엔저 길어지자 식어가는 엔테크 열풍
엔화에 투자하는 '엔테크' (엔화+재테크) 열풍이 식고 있습니다. 지난해 엔화 가치가 급락하며 환율 상승을 기대하고 엔화를 미리 사두는 투자자가 늘었지만, 엔화 약세가 장기화하면서 지친 투자자들이 엔화 매수에 신중해지고 있다는 분석이에요. 전문가들은 향후 원·엔 환율이 840원대까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엔화 투자가 신중할 것을 조언하고 있어요.
9일 현재 5대 시중은행 엔화예금 잔액은 지난 6월 말 기준 1조 2929억 엔으로 집계됐습니다. 전월 말(1조 2892억 엔)과 비교해 0.3%(37억 엔) 증가했지만 지난 4월(2.1%)과 5월(3.9%)에 비하면 증가율이 크게 둔화됐어요.
지난달은 엔화의 원화 대비 가치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어요. 지난달 28일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855원 60전으로 2008년 1월 10일(855원 47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보통 원·엔 환율이 100엔당 900원 밑으로 떨어지면 엔화예금 잔액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지만 엔저 현상이 예상보다 장기화하면서 엔화예금 잔액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어요.
전문가들은 향후 엔화 가치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합니다. 일본은행의 통화정책 결정이 매번 시장 기대만큼 충분히 긴축적이지 못한 실망감이 누적되고, 일본의 낮은 경제성장률로 엔화가 강세로 전환하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어요. 일본 정부는 지난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 대비 0.7% 감소했다고 이달 초 발표했어요. 일본의 1분기 성장률이 높지 않게 나오면서 시장은 일본은행의 완화적 통화정책이 더 장기화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구독, 공감, 댓글은 항상 힘이 됩니다.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