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 경제 뉴스 정리합니다~
[목차]
1. 지난해 수출 6838억 달러 역대 최대, 무역수지 흑자 518억 달러
1. 지난해 수출 6838억 달러 역대 최대, 무역수지 흑자 518억 달러
연말 계엄과 탄핵 사태 등 극도로 혼란했던 국내 정국에도 국내 기업들이 지난해 사상 최대 수출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주춤하던 수출 증가율도 5개월 만에 반등했어요.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은 전년 대비 8.2% 증가한 6838억 달러를 달성했습니다. 2022년의 기존 역대 최대치인 6836억 달러를 소폭 웃도는 수치예요. 하루평균 수출은 25억 3000만 달러였어요.
1~9월 기준 전 세계 수출 순위는 전년 대비 두 계단 상승한 6위를 기록했어요.
반도체를 비롯한 주력 수출품목이 호조세를 보였고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총 8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습니다. 반도체 수출은 전년 대비 43.9% 증가한 1419억 달러로 2023년 11월 이후 14개월 연속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12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6.6% 늘어난 614억 달러를 기록하며 15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특히 지난해 11월 1%대까지 떨어졌던 수출증가율이 12월에 5개월 만에 반등했어요.
역대 최대 수출에도 불구하고 올해 수출 전망은 밝지 않은데요. 보편관세를 내세우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원화값 하락으로 인한 원자재값 상승 우려가 커지며 반도체와 자동차의 수출 전망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2. 정부, 올해 1.8% 성장 전망, '1분기 추경' 검토
정부가 올해 한국 경제 성장 전망치를 1.8%로 제시했습니다. 1.8% 성장은 건국 이래 역대 7번째로 낮은 수준이에요. 이조차도 계엄 후폭풍과 미국 트럼프 행정부 리스크에 제때 대응하지 못하면 상황이 더욱 악화될 수도 있어요. 따라서 정부는 올해 1분기 추가경정예산 편성도 검토할 것으로 보여요.
정부는 2일 발표한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지난해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을 2.1%, 올해 성장률은 1.8%로 예측했습니다. 성장률이 2% 밑으로 떨어진 것은 한국은행이 관련 집계를 시작한 1954년 이후 단 6차례뿐이었어요. 2022년 2.7%, 2023년 1.4%에 이어 4년 연속 1~2%대 저성장을 기록하는 일은 전례 없는 일이에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는 2.3%로 정부의 관리 목표치인 2% 부근에 머물렀으나 올해는 침체된 경기가 반영돼 1.8%로 뚝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또 통관수출 증가폭이 작년 8.2%에서 올해 1.5%로 급감하며 경상수지 흑자폭도 900억 달러에서 800억 달러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어요.
내수 회복이 더딘 가운데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어 향후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3. 우크라 통과 러 가스관 '계약 종료'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국영 에너지기업 가스프롬이 체결한 가스관 5년 사용 계약기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종료되면서 1991년 이후 ㅊ음으로 우크라이나를 통해 유럽으로 가는 러시아산 가스 공급이 중단됐습니다. 계약 만료의 직격탄을 맞은 동유럽 국가들은 계약을 갱신하지 않은 우크라이나에 항의했어요.
러시아산 가스는 우크라이나를 거쳐 슬로바키아에 도달한 뒤 체코와 오스트리아로 가는 가스관으로 갈라집니다. 유럽연합(EU) 국가 중엔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가 공급 중단의 영향을 받아요. 비 EU 국가 중엔 몰도바도 해당됩니다.
우크라이나는 그동안 러시아가 유럽에 가스를 수출해 번 돈으로 우크라이나를 공격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러시아는 1991년부터 우크라이나를 통해 유럽으로 가스를 수출해 연간 50억 유로(약 8조 원) 수입을 올리는 것으로 추산돼요.
가스 공급 중단을 두고 EU 내에선 회원국 간 의견이 대립하고 있어요. 러시아와 가까운 헝가리와 슬로바키아는 우크라이나를 비판하고 나선 반면 EU 집행위는 비축량이 충분하다며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입장이에요.
실제 유럽은 그간 러시아산 가스 수입량을 줄여놓았기 때문에 타격이 크지 않으리란 전망이에요.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되면서 EU 가스 수입에서 러시아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2021년 40%에서 2023년 10% 미만으로 떨어졌어요.
구독, 공감, 댓글은 항상 힘이 됩니다.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