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요일 경제 뉴스 정리합니다~

 

경제 뉴스 브리핑 5월 27일
경제 뉴스 브리핑 5월 27일(월)

 

 

[목차]

 

1. '한국판 나사' 우주항공청 오늘 출범

2. 엔비디아 사상 최고치, 삼전·하이닉스 희비 갈려

3. K반도체 전력대란, 전력 110km 끌어와야

 

 

1. '한국판 나사' 우주항공청 오늘 출범

한국형 NASA(미 항공우주국)를 꿈꾸는 우주항공청이 27일 경남 사천시에서 문을 엽니다. 윤영빈 초대 우주항공청장을 필두로 '2032년 달 착륙', '대한민국 우주탐사 로드맵', '우주산업 클러스터 3각 체제' 등의 임무를 수행하게 돼요.

 

지난해 4월 정부는 우주청 설립과 관련된 특별법을 발의해 국회에 제출, 올해 1월에 법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며 본격적인 설립이 추진됐습니다. 우주 정책 범위가 우주탐사·산업·안보·국제협력 등으로 확대되면서 이를 체계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우주청의 필요성이 제기된 바 있어요.

 

우주청은 기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맡아오던 우주 관련 업무들을 맡게 됩니다. 전문 기업 육성을 비롯해 턱없이 부족한 예산과 인력 투자를 늘리는 일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여요.

 

정부는 올해 주요 임무로 우주탐사, 우주수송, 우주산업, 우주안보, 우주과학 등 5대 임무를 설정하고 9923억 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에요. 

 

우주청은 경남 사천 사남면에 있는 아론비행선박산업을 최소 2년 (연장 가능) 동안 사용하게 되며 아직 우주청 본청의 위치나 건립시기 등은 확정되지 않았어요. 우주청 본청의 부지 선정 및 건축 등 설립까지 적어도 5년 정도의 시간이 걸릴 예정이에요.

 

반응형

 

2. 엔비디아 사상 최고치, 삼전·하이닉스 희비 갈려

어닝 서프라이즈를 발표한 엔비디아가 뉴욕증시에서 연일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가운데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주가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27일 오전 9시 4분 SK하이닉스는 전 거래일 대비 2.22% 오른 20만 3000원에 거래되고 있는 반면 삼성전자는 1.32% 하락한 7만 4900원에 거래 중이에요.

 

엔비디아는 지난 22일 실적발표에서 시장의 예상을 크게 넘어서는 '깜짝 실적'을 발표한 바 있어요. 뿐만 아니라 10대 1의 주식 액면 분할도 공표했습니다. 이 같은 호재로 23일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는 9.32% 폭등한 데 이어 24일에도 2.57% 급등한 1064.69달러를 기록했어요.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 후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두 반도체 대형주의 행보는 엇갈리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고대역폭메모리(HBM) 제품을 이미 납품중인 반면 삼성전자는 아직 발열 이슈 등으로 엔비디아 테스트에 통과하지 못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이에요.

 

삼성전자는 "HBM의 품질과 성능을 철저하게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있다"는 공식 입장을 냈지만 시장의 실망 매물이 쏟아지고 있는 모습이에요.

 

3. K반도체 전력대란, 전력 110km 끌어와야

한국 반도체 경쟁력의 미래가 걸린 경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건설 과정에서 '전력 확보'가 최대 난제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체적인 전력대책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기 시작했어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필요한 전력은 최대 10GW(기가와트)에 이를 것으로 전망돼요. 원전 1기 용량이 보통 1GW인 점을 감안하면 원전 10기에 달하는 대규모 전력을 새롭게 조달해야 합니다.

 

발전소 신규 건립이 쉽지 않은 만큼 서남해권에 남아도는 풍력, 태양광을 비롯한 재생에너지를 충남 태안 변전소에 모았다가 110여 km나 떨어진 용인 반도체 단지로 끌고 오는 방안이 거론되지만 문제는 전기를 어떻게 용인까지 끌고 오느냐인데요. 태안 지역에 집결한 전기를 끌고 오기 위해서는 수조 원대의 송전선로 건설 비용이 발생돼요. 이전에 삼성전자가 평택캠퍼스 가동을 위해 고덕에서 서안성까지 23km 거리 송전망을 구축할 때 약 4000억 원의 건설 비용이 투입된 바 있어요.

 

대규모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한국전력 측은 전용 송전망을 구축하려면 '수익자 부담 원칙'에 의해 수혜를 보는 기업이 건설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산업계는 반도체 기업들이 매년 수조 원대 전기요금을 부담하는데 송전망 구축 비용까지 부담하는 건 '이중 부담'이라며 난색을 표명하고 있어요.

 

정부와 반도체 업계는 최근 TF를 결성해 1~2주 내로 첫 협의에 돌입할 예정이에요. 

 

 

 

 


구독, 공감, 댓글은 항상 힘이 됩니다. ^^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