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요일 경제 뉴스 정리합니다~

 

경제 뉴스 브리핑 10월 15일
경제 뉴스 브리핑 10월 15일(화)

 

 

[목차]

 

1. '주 1회 주사로 살이 쏙' 위고비, 오늘 출시, 37만 원에 공급

2. '빅컷'으로 정상화된 美 장단기 금리차

 

 

 

1. '주1회 주사로 살이 쏙' 위고비, 오늘 출시, 37만 원에 공급

'꿈의 비만약'으로도 불리는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가 15일 국내에 상륙합니다. 주 1회 배나 허벅지에 스스로 주사해 살을 뺄 수 있다는 점에서 오랜 기간 이 약을 기다려온 사람들에게 희소식이 되고 있어요. 다만 오남용에 대한 우려 또한 함께 제기됩니다.

 

국내 유통을 담당하는 쥴릭파마코리아는 15일부터 병의원과 약국을 상대로 위고비 주문을 받아요. 덴마크 제약사 노보노디스크가 개발한 위고비는 펜 모양 주사 1개를 주 1회, 1개월씩 투여하도록 제조된 전문의약품입니다.

 

0.25㎎, 0.5㎎, 1㎎, 1.7㎎, 2.4㎎ 5개 용량으로 구성되며 주 1회 0.25㎎으로 시작해 16주 경과 뒤 주 1회 2.4㎎까지 단계적으로 증량해요. 

 

펜 주사기 1개당 공급가는 37만 2025원으로 이는 병의원과 약국 공급가이며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의약품이라 실제 가격은 병의원이나 약국에 따라 천차만별일 가능성이 커요.

 

전문의약품인 만큼 의사의 처방이 필요합니다. 위고비는 초기 체질량지수(BMI) 30㎏/㎡ 이상인 성인 비만 환자 또는 BMI가 27㎏/㎡ 이상 30㎏/㎡ 미만 과체중이면서 고혈압 등 1개 이상 체중 관련 동반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처방될 수 있어요.

 

위고비는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되 속화 속도는 늦추는 글루카곤 유사펩타이드(GLP-1) 유사체 계열 약물입니다. 뇌의 시상하부를 자극해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높여 체중 감량에 효과가 있어요. 국내 출시된 건 지난해 4월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허가를 받은 이후 1년 6개월 만이에요. 

 

위고비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1배 늘어난 313억 크로네(약 6조 원)를 기록하는 등 노보노디스크의 효자 품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어요. 다만 의료계와 식약처는 비만 치료제의 오남용을 경계해야 한다며 우려하고 있어요.

 

반응형

 

2. '빅컷'으로 정상화된 美 장단기 금리차

2년 넘게 역전됐던 미국의 장·단기 국채금리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빅컷(금리 0.5% 포인트 인하)'이후 정상 궤도로 돌아오면서 일각에서는 경기 둔화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장단기 금리 역전이 해소된 후 경기 침체(국내총생산이 2분기 이상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것)가 발생한 적이 많았다는 이유인데요.

 

반면 최근 공개된 미국 고용지표가 시장 예상보다 견고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경기 침체의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며 과거와는 다른 경기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는 주장도 적지 않아요. 또 경기 침체가 발생하더라도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와 맞물려 주식시장은 활황을 나타낼 수 있어 경제주체가 체감하는 침체 정도는 다를 수 있다는 의견도 있어요.

 

15일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2022년 7월 6일부터 2년 2개월동안 역전됐던 미국채 10년물과 2년물 금리 차이가 이달 6일부터 플러스(+)로 전환됐습니다. 지난달 18일(현지시각) 미국 연준이 빅컷을 단행한 후 단기 금리가 빠르게 하락하면서 장단기 금리차가 정상화된 거예요.

 

장단기 금리차10년물 국채금리에서 2년물(혹은 3개월 물) 국채금리를 뺀 값으로 정상적인 경제에서는 시간이 흐를수록 경제 규모가 커지기 때문에 미래 경제 상황을 반영하는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높게 형성됩니다. 하지만 경기 침체가 예상되면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빠르게 하락해 금리 역전이 일어나요.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1962년 이후 미국 장단기 국채 금리가 역전된 후 해소된 것은 총 15번이며 이 중 1970년, 1974년, 1980년, 1981년에 장단기 금리가 정상화되기 전 경기 침체에 진입했습니다. 그 외 9번은 금리 역전이 해소된 후 1년 이내 침체가 나타났어요.

 

일각에서는 장단기 금리 역전 해소로 경기 침체가 오더라도 경제 주체가 체감하는 침체 정도는 약할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금리 인하 등 통화정책이 수반될 경우 자산 시장을 구성하는 한 축인 증권시장이 상승장으로 돌아설 수 있어요.

 

 

 

 


구독, 공감, 댓글은 항상 힘이 됩니다. ^^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