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경제 뉴스 정리합니다~
[목차]
1. 美 7월 PCE 3.3% 상승, 6월 대비 소폭 상승
2. 악성 미분양 줄었다, 집값 바닥통과 신호
1. 美 7월 PCE 3.3% 상승, 6월 대비 소폭 상승
미국의 7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 동월보다 3.3% 상승했습니다. 지난 6월에 기록한 2년래 최소폭 상승인 3.0%보다는 상승폭이 조금 커진 수치지만 시장 추정지에는 일치했습니다. 전월대비로는 0.2% 증가해 6월의 상승폭과 동일했어요. PCE 가격지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주로 참고하는 물가지표예요.
변동성이 큰 식료품,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4.2% 상승하여 6월 상승폭인 4.1%보다는 올랐고 전월 대비로는 0.2% 상승했습니다.
7월 개인소비지출은 전달 대비 0.8% 늘며 추정치인 0.7%를 상회했어요. 이는 상향 수정된 6월의 0.6%를 웃도는 수치예요. 특히 식료품, 오락용품, 차량 같은 상품과 주거, 외식, 보험 등의 서비스 지출이 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6월 상승폭 둔화세가 워낙 컸던 점을 고려하면 물가상승률 둔화세가 약화됐다고 보기는 힘들다는 의견인데요. 다만 PCE와 근원 PCE 가격지수 모두 전월 대비 상승한 점으로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잡히지는 않았다는 판단이에요.
시장에서는 연준이 일단 9월 FOMC에서 금리를 동결한 뒤 추가 인상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요.
2. 악성 미분양 줄었다, 집값 바닥통과 신호
전국 미분양 아파트가 5개월 연속 줄었습니다. 특히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9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어요. 정부의 규제 완화, 부동산 시장 바닥론이 맞물리면서 그동안 쌓여왔던 미분양 물량이 조금씩 해소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요.
다만 올 들어 증가 추세에 있던 아파트 매매 거래는 두 달째 감소했어요. 저가 급매물 위주의 기존 주택 물량이 어느 정도 소진되자 주택 수요가 신축 분양시장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분석이에요.
7월 주택통계에 의하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전월 대비 3301가구(5.0%) 감소한 총 6만 3087 가구로 집계됐어요. 5.0% 감소폭은 미분양 주택이 줄어들기 시작한 3월 이래 최대 감소폭이에요.
계속 늘고 있던 준공 후 미분양 분량도 전국 9041가구로 전월 대비 358 가구(3.8%) 감소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10월 이후 9개월 만의 감소세 전환입니다.
반면 기존 주택 매매시장은 주춤하는 분위기인데요. 7월 한 달 주택 매매 거래량이 전국 총 4만 8170건으로 전월 대비 4422건(8.4%) 감소하며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습니다. 7월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3804건으로 한 달 만에 다시 4000건 아래로 떨어졌어요.
전문가들은 미분양 아파트 수요 증가는 급매물 소진 이후 수요자들이 미분양이라도 신축 아파트로 관심을 돌리고 있는 결과로 향후 신축 공급이 부족할 것이라는 우려도 반영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어요.
구독, 공감, 댓글은 항상 힘이 됩니다.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