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기사나 뉴스를 보고 듣다 보면 경제 관련 수치들을 얘기하면서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p)라는 용어를 언급하는 걸 흔히 접합니다. 그런데 그동안 두 용어에 대한 뚜렷한 구분 없이 경제기사를 파악하고 있었더라고요. 생각해보면 좀 어이없기도 한데요. 경제뉴스 속에서 그냥 지나치기 쉬운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p)의 뜻과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퍼센트와 퍼센트포인트는 알고 나면 간단한 개념인데도 저처럼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고, 신문기사 등에서도 퍼센트 포인트(%p)를 그냥 퍼센트(%)로 잘못 사용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어요.
1.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p)의 뜻
퍼센트(%)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백분율을 말합니다. 즉 전체 수량을 100으로 할 때, 해당 수량이 그중 몇이 되는지를 나타내는 수입니다.
퍼센트 포인트(%p)
퍼센트 간의 차이를 말합니다. 퍼센트로 나타낸 수치가 이전 수치에 비해 줄었는지 늘어났는지 '증가/감소'한 양을 말해요.
2.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p) 사용 사례
아래와 같은 문장을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를 사용하여 두 가지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ex) 실업률이 작년 2%에서 올해 4%로 상승했다.
1) 실업률이 작년에 비해 100% 상승했다.
2) 실업률이 작년에 비해 2% 포인트 상승했다.
두 문장은 표현은 다르지만 같은 내용을 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두 표현 사이에 미묘한 차이를 느낄 수 있는데요.
- 퍼센트로 표현한 1번의 경우(100% 증가)는 실업률 상승폭이 매우 크다는 느낌을 주는 반면
- 퍼센트 포인트로 표현한 2번의 경우(2% 포인트 상승)는 그렇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왜 굳이 이렇게 헷갈리는 표현을 사용할까?
보통 수의 변동을 표현할 땐 퍼센트(%)를 많이 사용합니다. '주가가 1만 원에서 1만 3000원으로 30% 올랐다'는 식으로 표현하죠. 하지만 실업률, 이자율처럼 이미 퍼센트(%)로 나타낸 수치의 변동은 퍼센트 포인트(%p)로 나타내면 더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합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1.25%에서 1.5%로 0.25%p 인상했다.
4. 실전 문제 풀기
[문제]
현재 실업률이 3% 일 때 다음 두 문장이 의미하는 수치는?
1) 실업률이 10% 올랐다.
2) 실업률이 10% p 올랐다.
[정답]
1) 실업률이 10% 올랐다.
3%의 10%는 0.3% ≫ 3% (현재 실업률) + 0.3% = 3.3%
2) 실업률이 10%p 올랐다.
3% + 10% = 13%
이해하기 쉬우실까요? 더 어려운가요? ^^;
저는 그동안 생각 없이 혼용해서 썼던 표현들을 정리할 수 있었는데요. 이제부턴 뉴스를 들을 때 각각의 차이를 확실히 구분해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구독, 공감, 댓글은 항상 힘이 됩니다.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