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요일 경제 뉴스 정리합니다~

 

경제 뉴스 브리핑 11월 22일
경제 뉴스 브리핑 11월 22일(수)

 

 

[목차]

1. 배당일 자유화, 연말 아닌 연초 배당 기업 속속 등장
2. 기준금리 인하 논의 없는 FOMC 의사록
3. "1인당 1.3억씩 빚 갚아야", 벼랑 끝에 몰린 미국


 

 

1. 배당일 자유화, 연말 아닌 연초 배당 기업 속속 등장

배당금을 보고 투자할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되면서 매년 연말이었던 배당 기준일을 연초 이후로 변경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습니다. 배당제도 개선으로 금융주 등 주요 배당주들의 배당 안정성이 높아지고 배당락에 의한 주가 변동성도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요.

 

배당 기준일이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주주를 확정하는 날입니다. 배당 기준일에 주식을 갖고 있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어요. 그동안 12월 결산법인이 대부분인 국내 기업들은 매년 12월 31일이 정기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의결권 기준일이자 배당 기준일이 됐습니다. 의결권을 행사하는 주주와 배당을 받는 주주가 동일해야 한다는 인식 때문이기도 했어요.

 

보통 기업들은 매년 말일 사업연도를 마무리하고 1년 간의 실적을 정산합니다. 손익을 확정한 뒤 이익 중 얼마를 배당금으로 할지 결정해요. 연말에 배당받을 주주를 확정하더라도 실적 결산에 1~2개월 정도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배당금은 통상 3월 주주총회 전에 확인할 수 있어요. 이 같은 배당 방식은 배당금이 얼마인지 정확히 알지 못한 상태에서 투자를 해야 한다는 점에서 그간 '깜깜이 투자'라는 문제 제기가 꾸준히 있어 왔습니다. 배당컷(배당금 축소) 리스크나 배당락(배당기준일 이후 배당수익률 만큼 주가가 떨어지는 현상) 일에 주가가 과도하게 떨어지는 것도 배당과 관련된 불확실성이라는 지적이 많았어요.

 

금융당국은 2020년 8월 상법을 개정하여 사실상 매년 말일을 배당 기준일로 전제한 규정을 삭제했고 올해 초에 유권 해석을 통해 의결권 기준일과 배당 기준일을 분리해 설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배당 기준일을 연말이 아닌 다른 날로 설정할 수 있게 개정되면서 선배당금 확정 후배당투자가 가능해졌어요.

 

이후 배당 기준일을 연말이 아닌 다른 날로 정할 수 있도록 정관을 개정한 상장사들이 크게 늘었습니다. 올해 3월 기준 전체 상장사의 26%인 636개사가 개정된 배당절차를 적용할 수 있게 됐어요. 정관을 변경한 기업들은 공시를 통해 별도의 배당 기준일을 안내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배당을 생각하고 금융주에 투자할 경우 이제 배당 기준일을 확인하고 투자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2. 기준금리 인하 논의 없는 FOMC 의사록

21일(현지시간) 공개된 Fed의 11월 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 금리 인하 논의는 없었습니다. Fed 위원들은 대부분 인플레이션이 재개될 위험성이 여전히 있다며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어요. Fed의 금리 인상이 종료되고 내년 중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가 확산했던 시장에서는 동결 기대가 소폭 약화됐습니다.

 

이날 연준이 공개한 11월 FOMC 의사록에 따르면 연준 이사들은 인플레이션을 위원회의 목표치인 2%로 되돌릴 수 있도록 충분히 금리를 제한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향후 발표되는 경제 지표에서 물가를 잡기 위한 연준의 노력이 불충분한 것으로 확인되면 추가로 금리를 인상하자는 의견이 제시됐어요.

 

11월 FOMC 이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위원회는 지금 금리 인하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힌 바대로 금리 인하를 언제 시작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전혀 논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1일 미국 증시는 보합권에서 하락 마감했습니다. 다우존스, S&P500, 나스닥 모두 0.18~0.59% 하락 했어요. 

 

3. "1인당 1.3억씩 빚 갚아야", 벼랑 끝에 몰린 미국

미국 정부가 '부채의 늪'에 빠졌습니다. 쓸 돈은 많은데 수입은 줄면서 부채규모가 급속도로 늘고 있어요. 미국 정부의 최대 돈줄이던 미국 국채의 위상마저 떨어지면서 자금조달의 어려움이 배가됐어요.

 

미국은 지난 9월 끝난 2023년도 에만 1조 7000억 달러의 빚을 졌습니다. 팬데믹 시기인 2020년(3조 1300억 달러)과 2021년에 이은 역대 세 번째 규모예요. 그동안 미국의 연간 평균 재정적자 규모는 5000억 달러 수준이었지만 코로나19 대응이 끝난 미국의 재정적자는 예전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어요.

 

대규모 적자가 쌓여가며 미국 전체 부채 규모도 33조 달러를 넘어서 10년 만에 두배로 증가했습니다. 세계 1위 경제대국인 만큼 부채 규모 역시 세계 최대예요. 미국의 전체 국가부채를 미국인 1인당 빚으로 환산하면 10만 달러에 달합니다.

 

미국 정부의 부채가 늘어난 이유는 수입은 줄고 있는데 지출은 늘고 있기 때문이에요. 지난해 소득세, 법인세가 감소했고 극단적 날씨로 세수 징수도 지연됐어요. 이에 더해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한 보조금 또한 세액공제 형태로 지급되는 만큼 걷히는 세금이 줄게 돼요.

 

반면 지출은 계속 늘어 고령화로 인한 복지 및 의료비용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시작한 학자금 대출 탕감 정책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어요. 국방비 역시 우크라이나 전쟁에 이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전쟁까지 겹치며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어요.

 

고금리에 따른 이자 비용 증가도 문제입니다. 향후 10년간 예상되는 미국 정부의 순이자 비용만 10조 6000억 달러로 예상됩니다. 이자 비용이 늘어나는 건 국채금리 상승 이유가 커요. 7월까지 연 3%대였던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달 연 5%를 넘어섰어요.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미 국채 매수세가 사라진 것을 핵심 요인으로 지적합니다. 미 국채의 자금줄 역할을 해 온 Fed, 중국, 일본 등이 미 국채 보유량을 줄이고 있어요.

 

미국 정부는 감당 가능한 부채라는 입장이지만 전문가들은 세수를 늘리거나 지출을 줄이거나 특단의 결정을 해야하는 순간에 도달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구독, 공감, 댓글은 항상 힘이 됩니다. ^^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